String 타입의 변수 선언방법 =>
String 변수명;
선언하게 되면 이제 "변수명" 여기는 내 땅이야! 라고 말하는것임.
ex)
![JAVA 자기주도학습 DAY[3] - undefined - String 타입의 변수 선언방법 => JAVA 자기주도학습 DAY[3] - undefined - String 타입의 변수 선언방법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letter라는 변수를 선언했을때의 결과
변수에 값 할당하기
char letter;
![JAVA 자기주도학습 DAY[3] - undefined - 변수에 값 할당하기 JAVA 자기주도학습 DAY[3] - undefined - 변수에 값 할당하기](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letter = 'A';
or
char letter = 'A';
타입(Type)
byte / short / int / long / float / double / boolean / char / string(문자열타입)
정수타입
![JAVA 자기주도학습 DAY[3] - undefined - 타입(Type) JAVA 자기주도학습 DAY[3] - undefined - 타입(Type)](https://blog.kakaocdn.net/dn/bUVLTz/btrUHRPXhJ1/x6KtKUyGkeNOYs3Fwvo9wK/img.png)
long 타입의 경우 리터럴 뒤에 접미사 L또는 l을 붙여줘야함.
ex) long longNum = 12_345_678_910L;
실수타입
![JAVA 자기주도학습 DAY[3] - undefined - 타입(Type) JAVA 자기주도학습 DAY[3] - undefined - 타입(Type)](https://blog.kakaocdn.net/dn/wJazH/btrUMJQEnkm/6Skn3hSjA2k9NhtS9YXuF1/img.png)
double형은 리터럴뒤에 접미사 d붙여도되고 안 붙여도됨.
float형 리터럴은 반드시 접미사 f를 붙여야함.
ex) float num1 = 3.14f
논리타입
boolean은 참 or 거짓 저장 데이터타입
true or false를 값으로 가진다.
ex) boolean isAdult = true;
문자타입
char은 반드시 "큰 따옴표" 가 아니라 '작은 따옴표'를 사용해야 한다.
ex)
char min = "a"; // 에러 : 큰 따옴표를 사용함.
char min = 'a'; // 통과
선언한 변수에 문자열을 할당하는 방법 (String)
1) 문자열 리터럴을 할당하는 방법String name1 = "min"; 변수 = "문자열"
2) String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할당하는 방법
String name2 = new String("min"); 변수 = new string("문자열") ;
ex) String word = speakup("hello world");
1. 메서드 speakup에 ()를 붙여 함수를 호출한다.
2. 호출 시 괄호 안에 "hello world"를 넣어 문자열 "hello world"를 인자로 전달한다.
3. 호출된 메서드가 리턴하는 값을 변수 word에 할당한다.
용어정리
변수(Variable) = 이름이 붙은 저장소
즉 어떤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인것.
리터럴(Literal) = 문자가 가르키는 값 그 자체.
num = 1
num에서 할당하고 있는 1이 리터럴임.
메서드(Method) = 메서드는 입력을 받아 출력하는 작은 기능 단위이다.
public int sum(int num1, int num2) {
int result;
result = num1 + num2;
return result;
에서 메서드는 sum이다.
int sum
메서드의 body는 (중괄호 내의 코드이다.)
'JAVA > 메서드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사용하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 (1) | 2025.01.15 |
---|---|
Java에서 외부 프로세스 실행: Runtime.getRuntime().exec() 메서드 사용법 (0) | 2024.12.31 |
자바에서 변수의 타입 확인하기: 기본형과 래퍼 클래스 (0) | 2024.12.07 |
Java의 char 타입 연산: 문자 차이를 계산하고 타입 변환 이해하기 (0) | 2024.12.06 |
Char과 Stirng 비교하는법 // Stirng.valueOf(); (0) | 2022.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