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증2 Django vs Spring 검증 기능 비교 - 무엇이 더 편할까? 백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 입력값을 검증하는 기능이 필수적이다. Django와 Spring은 각각 강력한 검증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특히 Django는 검증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반면, Spring은 대부분 커스텀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두 프레임워크의 검증 기능을 비교해 보겠다. 1. Django의 검증 기능Django에서는 serializer.is_valid()를 호출하면 자동으로 필드별 검증이 수행된다. 필드 타입과 제약 조건에 따라 적절한 오류 메시지가 생성되므로, 개발자가 직접 메시지를 작성할 필요가 없다.예제 코드from rest_framework import serializersclass UserSerializer(serializers.Serializ.. JAVA 2025. 2. 17. ASSERTTHAT 메서드 사용법 assertThat은 JUnit이나 AssertJ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정적 메서드이다. 이 메서드는 주로 단위 테스트에서 결과를 검증하는 데 사용된다. assertThat을 사용하면 테스트 코드가 더 직관적이고 가독성이 좋아지며, 여러 가지 검증 방법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1. 기본 사용법 assertThat 메서드는 주어진 값을 검증하는데 사용된다. 주로 isEqualTo, isNotEqualTo, isNull 등 다양한 매처를 사용하여 값을 비교한다. 다음은 기본적인 사용 예시이다.int discount = 0;assertThat(discount).isEqualTo(0);이 코드는 discount 값이 0과 같은지 비교하고, 만약 다르면 테스트가 실패한다. 2. 다양한 매처 사용assert.. JAVA/Spring 2024. 12.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