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팁2 깃 브랜치 네이밍 규칙 트러블슈팅: "슬래시 문제와 해결 방안" 깃 브랜치 네이밍 규칙 트러블슈팅: "슬래시 문제와 해결 방안" 최근에 깃 브랜치 네이밍 전략을 운영하면서 한 가지 문제가 발생했다. 바로 슬래시(/)를 사용한 브랜치 네이밍 규칙이 의도치 않게 오류를 발생시키는 상황이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민과 해결 방안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문제 발생우리 팀에서는 깃 브랜치 네이밍 규칙으로, 각 개발자가 작업한 기능을 구분하기 위해 브랜치 이름에 슬래시(/)를 사용하여 계층 구조를 만들고 있다. 예를 들어 feature/member/social-login처럼, 각 기능의 이름을 feature/, member/, social-login으로 나누어 표기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처럼 슬래시를 사용한 이름을 가진 브랜치가 이미 존재하면, 하위 브랜치를 만들 수 .. 트러블 슈팅 2025. 1. 28. JAVA SPRING 테스트 코드 작성: JUnit 5에서는 public을 생략해야된다고? 심지어 권장?! JUnit 5에서는 public을 생략해도 된다: 간결하고 깔끔한 테스트 코드 작성법 JUnit 5의 변화: public을 생략하라JUnit 4와는 다르게 JUnit 5에서는 테스트 클래스와 메서드에 public 접근 제어자를 명시하지 않아도 실행된다. 이는 테스트 코드를 더욱 깔끔하고 간결하게 만들기 위한 변화이다. 왜 public을 생략할 수 있을까?JUnit 5는 "Less is More" 원칙을 따른다. 불필요한 코드를 제거하고 가독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다:테스트 메서드는 JUnit 프레임워크 내부에서만 실행된다. 외부에서 직접 호출될 필요가 없다.Java의 **패키지 수준 접근 제어자(package-private)**로도 충분히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JAVA/Spring 2024. 12.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