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26 Django vs Spring 검증 기능 비교 - 무엇이 더 편할까? 백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 입력값을 검증하는 기능이 필수적이다. Django와 Spring은 각각 강력한 검증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특히 Django는 검증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반면, Spring은 대부분 커스텀해야 한다. 이번 글에서는 두 프레임워크의 검증 기능을 비교해 보겠다. 1. Django의 검증 기능Django에서는 serializer.is_valid()를 호출하면 자동으로 필드별 검증이 수행된다. 필드 타입과 제약 조건에 따라 적절한 오류 메시지가 생성되므로, 개발자가 직접 메시지를 작성할 필요가 없다.예제 코드from rest_framework import serializersclass UserSerializer(serializers.Serializ.. JAVA 2025. 2. 17. Querydsl로 효율적으로 JPA 조건 쿼리 작성하기 Querydsl로 효율적으로 JPA 조건 쿼리 작성하기 JPA를 사용할 때, Criteria API가 기본적으로 제공되지만 실무에서는 복잡하고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해사용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개발자들이 **Querydsl**을 선택한다. Querydsl은 타입 세이프하며,가독성이 뛰어난 쿼리 작성 방식을 제공한다. Querydsl이란? Querydsl은 Java 기반 ORM 프레임워크에서복잡한 동적 쿼리를 간결하고 가독성 있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 라이브러리다. JPQL 기반의 쿼리를 Java 코드로 작성하며, 컴파일 시점에 오류를 검출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인다. Querydsl을 사용하는 이유 1. 가독성Criteria API는 메서드 체이닝 방식으로 .. JAVA/Spring 2025. 1. 21. JPA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사용하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 JPA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 꼭 필요한가?JPA를 사용하다 보면 엔티티 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라는 개념이 자주 등장한다.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는 양방향 연관관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글에서는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의 개념, 필요성, 장점, 구현 방식, 그리고 예제를 통해 이를 이해해보고,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내용까지 함께 다뤄본다. 1.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란?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는 JPA에서 양방향 연관관계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메서드를 말한다. 양방향 관계에서는 두 엔티티 간의 관계를 모두 설정해주어야 하는데, 편의 메서드를 사용하면 한 곳에서 관계를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하다.예를 들어, Order와 Member 간의 관계를 .. JAVA/메서드 정리 2025. 1. 15. DFS와 BFS 알고리즘 완벽 가이드!! [탐색 알고리즘의 기본부터 예제 코드까지] 포스팅 하나로 탐색 알고리즘은 그래프를 순회하거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를 찾는 데 자주 사용된다. 특히 깊이 우선 탐색(DFS)과 너비 우선 탐색(BFS)은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탐색 기법으로, 많은 문제 해결의 기반이 된다. 이번 포스팅 에서는 DFS와 BFS의 개념, 작동 방식, 예제 코드, 그리고 두 알고리즘의 차이점으로 작성해보려 한다. DFS (Depth-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DFS란?깊이 우선 탐색은 시작 노드에서 한 방향으로 깊게 들어가며 탐색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한 경로를 끝까지 탐색한 후, 더 이상 갈 곳이 없을 때 다른 경로로 이동한다.주요 특징:스택 자료구조(혹은 재귀 호출)를 사용한다.그래프의 경로가 깊은 곳까지 먼저 탐색된다.순환 구조나 무한 루프를 방지하.. Algorithm/Java 2025. 1. 4. Java에서 외부 프로세스 실행: Runtime.getRuntime().exec() 메서드 사용법 Java에서 외부 프로세스 실행: Runtime.getRuntime().exec() 메서드 사용법Java는 내장된 Runtime 클래스를 통해 외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이 메서드를 사용하면 Java 프로그램 외부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으며, 외부 시스템 명령을 실행한 결과를 처리할 수 있다. 주로 파일 컴파일이나 시스템 명령어 실행을 자동화할 때 유용하다. Runtime.getRuntime().exec() 메서드exec() 메서드는 주어진 명령어를 외부 프로세스에서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이를 통해 운영 체제의 명령줄 명령어를 Java 프로그램에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Java 파일을 컴파일하는 javac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예시 코드아래 예시 코드는 Java 프로그램에서.. JAVA/메서드 정리 2024. 12. 31. Jackson과 Lombok @Data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JSON 데이터 처리 Jackson과 Lombok @Data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JSON 데이터 처리자바에서 JSON 데이터를 자바 객체로 변환할 때는 Jackson 라이브러리를 많이 사용한다. Jackson은 ObjectMapper를 사용하여 JSON 데이터를 쉽게 자바 객체로 변환할 수 있게 해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Jackson을 활용해 JSON 데이터를 객체로 변환하는 방법과, Lombok의 @Data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생성된 메서드들이 어떻게 유용하게 작동하는지 살펴보겠다. 또한, 여러 클래스에 @Data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경우에도 어떻게 정확하게 값을 추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Jackson을 이용한 JSON 데이터 변환Jackson은 JSON 데이터를 자바 객체로 변환하는 데 매.. JAVA/Spring 2024. 12. 31. Spring에서 생성자에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이유와 장점 Spring에서 생성자에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이유와 장점Spring Framework에서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은 객체 간 결합도를 낮추고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법 중 하나로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이 있으며, 이때 @Autowired 어노테이션이 자주 활용된다. 이번 글에서는 @Autowired를 생성자와 함께 사용하는 이유와 장점을 코드 예시와 함께 설명한다. 의존성 주입 방법Spring에서 의존성 주입은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수행된다.필드 주입(Field Injection)Setter 주입(Setter Injection)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이 중 생성.. JAVA/Spring 2024. 12. 20. AssertThat의 isEqualTo와 isSameAs의 차이점 알아보기 AssertThat의 isEqualTo와 isSameAs의 차이점 알아보기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 AssertJ 라이브러리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특히 assertThat 메서드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 isEqualTo와 isSameAs는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다. 이 두 메서드는 비슷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오늘은 isEqualTo와 isSameAs가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 차이점은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리해보겠다. 1. isEqualTo란? (값 비교)**isEqualTo**는 두 객체의 값이 같은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값이 같다는 것은 equals() 메서드를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의미다. 즉, 두 객체의 내용이 같은지 검사한다. 예시 코드:String a = new String.. JAVA/Spring 2024. 12. 17. 스프링 빈 조회: 부모 타입과 Object 타입의 차이점 스프링 빈 조회: 부모 타입과 Object 타입의 차이점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빈(Bean)을 조회할 때 부모 타입과 Object 타입으로 조회하는 경우가 있다. 이 두 가지 방식 모두 빈의 타입 계층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므로 이를 정확히 이해해야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1. 부모 타입으로 빈 조회부모 타입으로 빈을 조회하면 해당 부모 타입과 그 자식 타입까지 조회된다. 즉, 부모 타입을 상속받거나 구현한 모든 빈이 조회 대상이 된다. @Configurationclass AppConfig { @Bean public ParentBean childBean1() { return new ChildBean1(); } @Bean public .. JAVA/Spring 2024. 12. 16. AppConfig: 어셈블러이자 오브젝트 팩토리로 불리는 이유 AppConfig: 어셈블러이자 오브젝트 팩토리로 불리는 이유Spring Framework를 다루다 보면 AppConfig가 어셈블러(Assembler) 또는 오브젝트 팩토리(Object Factory)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이는 AppConfig가 빈(bean)의 생성과 의존관계(Dependency)를 동적으로 관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1. AppConfig는 어셈블러이다소프트웨어에서 "어셈블러"는 여러 컴포넌트를 조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역할을 의미한다. Spring에서 AppConfig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의존관계를 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하나의 빈이 다른 빈에 의존할 때 그 관계를 설정하고 애플리케이션 전반의 흐름을 완성하는 중요한 조립기(Assembler) 역할을 .. JAVA/Spring 2024. 12. 16.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과 작성 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테스트 코드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코드가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지 검증할 수 있는 안전망 역할을 한다. 개발 과정에서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코드를 리팩터링할 때, 테스트 코드는 코드의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예상치 못한 오류를 빠르게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다.또한 테스트 코드는 개발자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수동으로 기능을 테스트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특히, 큰 프로젝트에서는 기능이 서로 얽혀 있어 수동 테스트만으로는 모든 문제를 발견하기 어렵다. 테스트 코드는 이러한 문제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해결해 준다.마지막으로, 테스트 코드는 개발자 간의 소통 도구로도 활용된다. 코드가 어떤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 JAVA/Spring 2024. 12. 14. HashMap과 ConcurrentHashMap의 차이점 그리고 동시성 문제 해결 개발을 하다 보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HashMap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하지만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하는 환경에서는 HashMap 사용이 적합하지 않다. 이런 환경에서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oncurrentHashMap이 등장한다. 이 글에서는 HashMap과 ConcurrentHashMap의 차이를 이해하고, 언제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본다. 1. HashMap의 특징과 문제점HashMap은 java.util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가장 기본적인 Map 구현체이다. 빠른 데이터 삽입과 검색 속도를 제공하며, 단일 스레드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다중 스레드 환경에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예제: 단일 스레드 환경에서 HashMap 사용import java.ut.. JAVA/Spring 2024. 12. 1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