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네트워크

웹 애플리케이션? / 애플리케이션(APP)은 아는데 웹 애플리케이션은 뭐지? [네트워크]

min민 2023. 1. 26.

 

웹 애플리케이션? / 애플리케이션(APP)은 아는데 웹 애플리케이션은 뭐지? [네트워크] - undefined - undefined -  

 

1️⃣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NATIVE - APPLICATION)?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특정기기에서 설치해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Native-application) 이라고 부른다.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은 애플의 iOS, 안드로이드의 Andorid OS, Windows와 같은 특정 실행환경에 종속되어 있다.

 

따라서

 

아이폰에 설치되게끔 만든 iOS는 갤럭시나 윈도우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2️⃣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장, 단점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장점

  • 웹 애플리케이션 보다 빠르다
  • 인터넷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설치되기 때문)
  •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기기의 시스템, 기기의 리소스에 접근하기 용이하다. (GPS, 카메라... 등등)
  • 웹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안전하다. (애플스토어, 구글스토어 등의 승인을 통해서 스토어에 들어가기 때문)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단점

  • 웹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개발비가 더 들어가게 된다.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간의 멀티 플랫폼을 개발 하는것 등...)
  • 빠른 업데이트가 힘들다.
  • 앱스토어의 승인을 받기 힘들고,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3️⃣ 웹 애플리케이션이란(WEB APPLICATION)?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을 통해 웹 브라우저에 이용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정적인 웹사이트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동적인 응답을 웹 브라우저를 통해 가능하게 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로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굳이 사용자에게 소프트웨어를 배포해 설치하지 않아도 웹 애플리케이션을 유지 관리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종류의 동적 웹 페이지와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별하는 것은 불분명하다.

 

 

4️⃣ 웹 애플리케이션의 장점

  • 브라우저를 통해 실행되기 때문에 설치나 다운로드가 필요 없다.
  • 업데이트 등의 유지관리가 쉽다.
  •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비해서 만들기가 비교적 간편하다.
  • 구글스토어, 애플스토어 등의 스토어 승인이 필요 없다.

 

 

5️⃣ 웹 애플리케이션의 단점

  • 인터넷이 없으면 사용이 불가하다. (*BUT 미래에는 스타링크 프로젝트 등의 이유로 인터넷이 없는곳이 점점 없어질 것임.)
  •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관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접근성이 떨어진다.
  • 보안상 위험에 노출되기가 쉬워진다.

 

#️⃣ 정리 및 개인적인 의견

최근에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 웹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단점은 보완해가는 방식으로 계속 업데이트 중이다. 사실 이번년도(2023년) 하반기에 한국에도 스타링크 프로젝트가 실질적으로 들어온다고 하니 인터넷이 안되는 곳은 없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출처 및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C%9B%B9_%EC%95%A0%ED%94%8C%EB%A6%AC%EC%BC%80%EC%9D%B4%EC%85%98

https://namu.wiki/w/%EC%95%A0%ED%94%8C%EB%A6%AC%EC%BC%80%EC%9D%B4%EC%85%98

https://www.apple.com/

https://play.google.com/

'JAVA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 IP 란? / 프로토콜? [네트워크]  (0) 2023.01.26